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팔랑나비과

정보코너

팔랑나비과(Satarupa nymphalis Speyer)
팔랑나비과(Satarupa nymphalis Speyer)

팔랑나비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소형으로 처음 보는 사람들은 나방으로 가장 많이 혼동할 정도로 모습이 비슷합니다. 대체로 날개에 비해 머리가 크고, 더듬이 밑 부분이 서로 떨어져 있으며 끝은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특징이 있습니다. 날개의 색은 다갈색, 혹은 흑색 등 어두운 색이 많습니다. 각종 꽃에 잘 모이고 축축한 습지에 잘 내려앉습니다. 전 세계에는 6아과 3,000 종 이상이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남한)에는 수리팔랑나비아과(Coeliadinae)가 3종, 흰점팔랑나비아과(Pyrginae)가 6종, 팔랑나비아과(Hesperiinae)가 17종으로 총 26종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 참조: 원색한국나비, 김용식 저

팔랑나비과의 나비

수리팔랑나비아과 (Coeliadinae)

아랫입술수염이 머리 앞으로 뿔 모양으로 나온 종류로 우리나라에 뿔나비 1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흰점팔랑나비아과 (Pyrginae)

대형의 나비 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왕나비만이 토착하고 있습니다.

팔랑나비아과 (Hesperiinae)

원래의 네발나비과를 구성하는 종류로 우리나라에 67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푸른큰수리팔랑나비의 성장과 일생

호랑나비의 가슴부분
푸른큰수리팔랑나비의 알

알은 먹이식물의 잎 등에 한 개씩 산란합니다. 우윳빛을 띠는 원형으로 세로로 골이 파진 모양입니다.

호랑나비의 날개부분
푸른큰수리팔랑나비의 애벌레

애벌레는 잎을 말아 그 속에서 생활하며, 머리는 붉은색 바탕에 검은 점무늬, 몸통은 검은색과 노란색이 교차하는 줄무늬로 천적에게 독이 있어 보이게끔 위장한 형태입니다.

비늘
푸른큰수리팔랑나비의 번데기

먹이식물의 잎을 말아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며, 대용의 형태로 흰색의 가루로 덮여 있습니다.

비늘
푸른큰수리팔랑나비의 성충

남땅에 내려앉아 수분을 섭취하려고 하며 수컷 성충은 뒷날개 가장자리 부위에 검은색의 테두리가 흐린 편이나 암컷은 윤곽이 뚜렷합니다. 산꼭대기, 숲 주변의 큰 나무를 선회하며, 강한 점유 행동을 보입니다. 이른 아침이나 저녁 무렵에 빠르게 잘 날아다닙니다. 엉겅퀴, 장다리 등의 꽃 등에서 흡밀을 하며, 동물의 배설물에도 잘 모이는 습성이 있습니다.

푸른큰수리팔랑나비의 분포 및 생태

  • 분포 :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등 남쪽 일부지방에 분포하며, 국외에는 인도, 네팔, 인도차이나, 중국서부, 일본 등에 분포합니다.
  • 생태 : 남서부 활엽수림 지역에서 서식하며, 산꼭대기, 숲 주변의 큰 나무 근처를 선회하며, 강한 점유 행동을 보입니다. 이른 아침이나 저녁 무렵에 빠르게 잘 날아다니며, 엉겅퀴, 장다리 등의 꽃 등에서 흡밀을 하며, 동물의 배설물에도 잘 모이는 습성이 있습니다. 먹이식물은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등의 나도밤나무과의 식물을 먹이로 합니다. 발생시기는 5~8월경으로 연 2회 발생합니다. 애벌레는 먹이식물의 잎을 말아 집을 짓고 그 속에서 성장하며, 겨울나기는 번데기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