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 홈으로생활정보 생활 경제 특화사업 불로목공예단지

불로목공예단지 소개(동구공예전시장)

  • 주     소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로30길 7-2
  • 대표번호 : 053-981-1917
  • 동구 불로동, 도동 일원에 목공예업소가 집단화하여 단지를 조성 조합을 결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 이곳에서 생산되는 공예제품은 향나무, 물푸레나무, 오동나무, 박달나무, 대추나무, 느티나무, 육송 등 주로 원목을 사용하여 옛 전통적 제작기법으로 자연미를 살려 제작 함으로서 그 작품성과 명성이 높아 더욱 인기가 있다.
    • 목기
    • 북
    • 네모소반
    • 널
    • 다기세트
    • 목걸이, 팔찌
    • 장구
    • 팔각함
    • 바둑판, 바둑도구
    • 항아리
    • 탈
    • 둥근소반
    • 목탁
    • 탁자
    • 반닫이
    • 문갑
    • 찬장
    • 식탁
    • 제기세트
    • 의자

문의처

대경팔공공예사업협동조합
  • 이사장 : 엄태조
  • 소재지 : 팔공로30길7-2(불로동)
  • 전화 : ☎ 053)981-1917, Fax : 053)981-1918
상품정보(제조품목)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불로목공예단지 상품정보(제조품목) : 이 표는 목공예 상품정보를 품종별, 제품명, 상품가격으로 구분하여 나타내는 표입니다.
품종별 제품명
관광용품 탁자용시계, 필기구, 손목주, 열쇠걸이, 차거리등 50여종
사물악기 장구, 북, 괭가리, 징, 거문고, 장식용품등15여종
종교용품 목탁, 불상, 불단, 경상, 묵주, 단주, 연주등 20여종
식 탁 용 다기세트, 제기세트, 재상, 소반, 뒤주, 찬장, 등 30여종
가 구 장롱, 문갑, 탁자, 과반, 찻상 ,전통사찰창호등 50여종
기 타 각 시, 군, 구 지방자치단체 이정표사업(등산로팻말등)70여종
기능보유자소개(명장)
  • 엄 태 조 소목장(小木匠)
    • 업 체 명 : 유산수단 ( ☎ 053-981-1917)
    • 소재지 : 용천로 438(신무동)
    • 약력 : 국가무형문화재 제55호 소목장 보유자, 대한민국 명장(목공예), 대한민국 전통기능전승자(목공예)
      한국폴리텍Ⅵ대학 명예교수, 대통령 표창장 수훈, 대통령 산업포상 수훈
    • 주요생산품목 : 먹감장농, 다기장, 밀양반닫이 등

      * 소목장 엄태조는 15세때부터 50여년간을 소목가구 제작에 종사하여 오면서 철저한 장인정신을 발휘하여 전통가구의 맥을 오늘날까지 이어 오고 있으며, 특히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나무의 선별과 오랜건조 기간, 정밀한 사개짜임, 연귀짜임, 마대짜임, 장식조각, 상감기법, 옻칠 등은 전통가구의 기법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 이 종 한 창호장(窓戶匠)
    • 업 체 명 : 인목전통창호연구소 ( ☎ 053-961-0800)
    • 소재지 : 안심로 475-1(괴전동)
    • 약력 : 국민훈장 목련장 서훈, 대구광역시 무형문화제 제17호, 국무총리 표창, 문화재청장 표창
    • 주요생산품목 : 전통목문 (빛모란꽃살 외)

      * 한국 건축의장(建築意匠)에서 창호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특히 궁궐건축의 경우는 벽면 거의 대부분을 창호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보유자인 이종한은 1963년부터 창호 제작에 종사하면서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예천 용문사 대장전 수미단 및 상주 수암종택 창호 보수 등에 참여하여 관련 기능을 갖춘 것으로 인정된다. 전통 건축에서 필수적인 창문을 제작하는 창호장이 전국적으로 극소수에 불과하고 수익성이 적어 상대적으로 전승 기반이 어려운 점 등 보호 전승 가치가 높다.

  • 권 수 경 목공예명장(木工藝明匠)
    • 업 체 명 : 예심목공예 ( ☎ 053-981-4652)
    • 소재지 : 팔공로27길 19-6(불로동)
    • 약력 : 전국지방기능대회 심사장 및 심사위원 역임
      대한민국 목공예명장, 금호공과대학교 겸임 부교수 역임
      석탑산업훈장 수훈, 한국폴리텍Ⅵ대학 명예교수

      * 목공예명장 권수경은 5년 이상 자연 건조된 재료로 재단과 목선반하고 조각칼로 수조각한 후 사포질하여 생옻으로(주합) 7회에서 10회 정도 작업 후 마지막으로 백옻이나 금박 등으로 작업을 마무리 하여 작품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 자료담당부서 일자리경제과 강한별
  • 전화번호053-662-2595
  • 최종수정일2023-07-21
페이지 만족도 평가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평가를 해주세요!
별점 5점
별점 4점
별점 3점
별점 2점
별점 1점